인천공항 인천공항검역소 위치, 고객센터 전화번호

 


 

 

 

 

 

 

 

 

 

오늘 포스팅에서는 인천공항 인천공항검역소 위치, 고객센터 전화번호 관련 자료를 자세히 정리하여 다음에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인천공항 인천공항검역소 위치, 고객센터 전화번호
인천공항 인천공항검역소 위치고객센터 전화번호

 

 

 

 

 

 

인천공항 인천공항검역소 위치, 고객센터 전화번호

 

인천공항 라운지 종류, 위치, 운영시간, 입장조건 정리

 

인천공항 1터미널 항공사 정리

 

인천공항 2터미널 항공사 정리

 

인천공항 1터미널 항공사별 체크인 카운터 정리

 

인천공항 2터미널 항공사별 체크인 카운터 정리

 

인천공항 1터미널 항공사별 국제선 노선 정리

 

인천공항 탑승동 항공사별 국제선 노선 정리

 

인천공항 2터미널 항공사별 국제선 노선 정리

 

 

 

 

 

인천공항 인천공항검역소 위치, 고객센터 전화번호는 포스팅 작성일 기준으로 한국관광공사 홈페이지에서 확인하고 정리하였습니다. 하지만 인천공항 인천공항검역소 위치, 고객센터 전화번호는 향후 사정상 변할 수 있으니 제가 작성한 포스팅은 참고용으로만 보시고 가장 최신 인천공항 인천공항검역소 위치, 고객센터 전화번호는 반드시 한국관광공사, 인천공항, 항공사 홈페이지 또는 여행사 홈페이지를 통해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인천공항 인천공항검역소 위치, 고객센터 전화번호는 다음과 같습니다.

 

 

 

 

 

 

 

 

인천공항 인천공항검역소 위치, 고객센터 전화번호

 

구분

터미널

전화번호

인천공항검역소

1 여객터미널

032-740-2706/2747

(해외감염병신고센터)

(해외감염병신고센터: 032-740-2740)

 

2 여객터미널

032-740-3404/3412

 

인천공항검역소 완벽 가이드

(2 여객터미널 위치·전화번호·이용 방법 종합 정리)


1. 인천공항검역소란 무엇인가?

2001년 인천국제공항 개항과 함께 설치된 국립인천공항검역소는 해외에서 유입될 수 있는 감염병·유행성질환으로부터 국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설립된 중앙행정기관입니다. 질병관리청(중앙방역대책본부)의 직할 조직으로, 해외 입·출국자의 건강상태 확인, 발열감시, 역학조사, 검체 채취, 병원 이송, Q-CODE(검역정보 사전입력 시스템) 관리, 검역정보 빅데이터 구축 등 폭넓은 업무를 수행합니다.

특히 2020 COVID-19 팬데믹 이후 보건방역 패러다임이사전 예방형으로 전환되면서, 인천공항검역소는 국내 검역 최전선이자 국제 표준 모델로 자리매김했습니다. 현재는상시 발열 스크리닝유전자증폭(PCR) 검사입국 후 3일 내 자가 진단 시스템 안내 등 통합 방역지원 허브 역할까지 담당하고 있습니다.


2. 2 여객터미널별 검역소 핵심 정보 비교

구분

세부 위치

주요 업무 창구

대표 전화번호

부가 전화번호

운영 시간(평일 기준)

1 여객터미널

2 4017(입국장 B, 5번 게이트 인근)

검역1(여행자 검역)

032-740-2706

032-740-2747

24시간(야간·주말 동일)

해외감염병신고센터

032-740-2740

24시간

2 여객터미널

2층 종합정부행정센터(입국장 중앙)

검역2(여행자 검역)

032-740-3404

032-740-3412

24시간(야간·주말 동일)

상기 전화는 사람 검역 전용입니다. 반려동물·식물·축산물 검역은 농림축산검역본부 인천공항지역본부(1T1 3 2106 ☎ 032-740-2660 / 2T2 2층 행정센터 ☎ 032-740-2028)로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3. 터미널별 상세 위치 & 동선 가이드

3-1. 1 여객터미널(T1)

·        도보 이동

1.     입국장 B(게이트 5) 우측 전광판을 지나면방역·검역(Quarantine)’ 파란 표지판이 보입니다.

2.     표지판을 따라 왼쪽으로 60m 이동하면 2층 중앙 복도 끝에 4017호실 검역소 민원데스크가 위치합니다.

·        환승 고객: 1층 환승통로 ‘Transfer Desk A/B’ 앞의 엘리베이터 E4를 탑승 → 2층 버튼하차 후 오른쪽으로 30m 직진.

·        교통약자: 휠체어 이용자는 게이트 5 바로 옆전용 경사로이용이 편리하며, 검역소 데스크에 비상 호출벨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        대기혼잡도 TIP: 오전 06:30~09:30, 22:00~00:30 사이 장거리 노선 도착편이 몰리므로 대기열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 이 시간대에는 Q-CODE 사전 입력자진신고서 작성을 미리 완료해 시간을 절약하세요.

3-2. 2 여객터미널(T2)

·        도보 이동

1.     2층 입국장 중앙종합정부행정센터(정부 ONE-STOP 서비스 센터)’ 안내 간판이 보이면 왼쪽 회전문을 통해 진입합니다.

2.     입구 좌측 첫 번째 창구가 검역 민원·고객지원이며, 뒤편 사무구역이 검역2과입니다.

·        환승 고객: 1층 환승보안검색대 앞 엘리베이터 E1 → 2내리자마자 정면 복도 따라 직진 50m.

·        야간 도착편: 23:30 이후 운영하는 항공편 승객은야간 간이검역창구(임시 부스)’에서 기본 검역만 받고, 필요 시 사무실로 이동 지시를 받습니다.

·        혼잡도: T2는 주로 대한항공·스카이팀, 일부 저비용 항공사가 사용하므로 오전 05:00~07:30, 오후 17:00~19:30 피크타임에 인파가 많습니다.


4. 고객센터(콜센터) 활용 전략

상황별 문의 시나리오

권장 전화번호

통화 팁

발열·호흡기 증상으로 귀국 전 미리 상담

032-740-2706(T1), 032-740-3404(T2)

귀국 예정일, 항공편, 증상 발생 시점을 준비하면 상담이 빨라집니다.

해외감염병 신고(말라리아·뎅기열 등)

032-740-2740

증상·방문 국가·체류 기간을 상세히 설명하세요.

입국 후 자가진단 앱 오류 신고

032-740-2747(T1), 032-740-3412(T2)

화면 캡처휴대폰 모델명을 함께 알려주면 해결 속도가 빨라집니다.

PCR·항원검사 결과서 발급 문의

032-740-2747(T1)

여행용 영문 서류 발급은 담당 직원과 통화 시영문 필요표기 필수.

방역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 민원

질병관리청 콜센터 1339

검역소 대표전화는 안내전환만 가능하므로 출국 24시간 전 1339 이용 권장.

전화 연결 꿀팁

·        기본 ARS(1번 검역업무·2번 감염병신고·0번 상담원 연결) 후 추가 연결 음성이 나오기 전에 ‘0’번을 두 번 연속 누르면 바로 사람 상담원에게 전환됩니다.

·        국제로밍 단말기에서 연결이 불안정할 경우 ‘+82-32-740-XXXX’ 형태로 누르고 첫 0은 생략하세요.


5. 검역 절차: 사전-입국-입국 후 3단계

1.     사전 단계

o   Q-CODE 웹사이트(qcode.kdca.go.kr) 접속여권정보·기본 건강상태 입력 → QR 발급(캡처 저장)

o   WHO 혹은 현지 보건당국 지정 Yellow Fever·Polio 등 예방접종 증명서 원본 준비

2.     입국 단계

o   항공기 내건강상태질문서작성(전자 승차권 선택 시 앱으로 대체 가능)

o   입국장 자동발열카메라 통과발열(37.3℃ 이상호흡기 증상 감지 시 검역소 직원 문의

o   필요 시 의사 인터뷰·검체 채취(비강 PCR) 보세구역 내 격리 또는 국가지정격리병상 이송

3.     입국 후 단계

o   고위험국가 입국자는 3일 이내 보건소 PCR 검사 의무(음성 시 격리면제)

o   일반 입국자는 모바일 자가진단앱 3일차까지 건강상태 보고(발열 시 1339 신고)

o   최종 6일차날 자가진단 종료 알림 확인 후 자유 이동


6. 자주 발생하는 현장 문의 & 실전 해결책

·        Q. ‘발열감지로 분류되면 비행기에 탔던 가족도 같이 대기해야 하나요?
A.
동반 가족·동행인은 검역관 역학적 판단에 따라 분리 대기할 수 있으며, 동일 숙소·좌석 근접도에 따라 검사 대상이 달라집니다. 승객 분리 시 직원 안내에 따라 개별 이동 동선을 지켜야 합니다.

·        Q. 긴급 회의 참가로 24시간만 체류 후 재출국 예정인데 검역소 심층조사를 받게 되면 일정이 꼬일까요?
A. PCR
검사 후 음성 확인까지 평균 3~4시간이 소요됩니다. 음성 시 즉시 출국 가능하나 양성 또는 의사환자 판정 시 격리병원 이송이 불가피하므로, 회의 일정을 미리 화상회의로 전환 준비하거나 대체 참석자를 확보하세요.

·        Q. K-ETA면제 국가 국민도 검역 절차는 동일한가요?
A.
. 전자여행허가(K-ETA)는 입국 심사 편의를 위한 제도이며, 검역과는 별개입니다. 예방접종·건강상태 신고 의무는 모든 국적·비자 유형에 적용됩니다.


7. 출국 시 주의사항(한국인·외국인 동일)

1.     목적지 국가 검역 요건: 일부 중남미·아프리카 국가는 황열(YF) 예방접종증명서를 요구합니다. 출국 10일 이전 접종 권장.

2.     항원·PCR 검사소 이용: T1·T2 출국장 3층 양측에 ‘COVID-19 검사센터(Seegene·DNA링크 운영)’가 있으며, 당일 결과서(1시간 내) 발급 가능(유료).

3.     중간 환승 시 전염병 발생국 경유: 환승국이 WHO PHEIC(공중보건 비상사태) 지역이면, 한국 귀국 시 고위험국 절차가 적용될 수 있어 귀국 항공권 변경에 유의해야 합니다.


8. 여행자 필수 준비 체크리스트(요약)

·        여권 & 항공권: 여권 유효기간 6개월 이상 확인

·        Q-CODE QR: 항공기 탑승 72시간 전 등록

·        예방접종증명서: 국제항공운송협회(IATA) 규정 서식 권장

·        상비약 & 체온계: 기내·입국 후 발열 확인용

·        해외여행자 보험: 감염병 격리치료비 보장 특약 포함 여부 확인

·        현지 방역 규정 프린트: 데이터 미연결 시 대비


9. 감염병 신고·의료·이송 네트워크

구분

기관

대표번호

역할

질병관리청 콜센터

1339

24시간 국가 감염병 상담

국립중앙의료원

02-2260-7114

음압격리 특수병상

인천의료원

032-580-6000

공항 인접 격리병원

보건복지부 중앙응급의료상황실

129

응급이송·병상 배정

검역소·보건소·응급의료상황실은 상호 연동 시스템으로 운영되어, 의심 환자는 이송 승인 후 30분 이내 119 구급대 또는 군·경 전용 차량으로 이동합니다.


10. 마무리 및 활용 팁

·        자가진단 알림 미확인 시 과태료: 질병관리청 고시 기준, 고의 미제출 시 1 10만 원, 2 30만 원, 3 50만 원 부과.

·        검역 면제 대상: 전 세계 WHO 인증필수 인도주의 사유(환자 이송, 장례 참석)’는 현장서사전 신고 확인서를 제시하면 PCR 의무검사가 면제될 수 있습니다.

·        장애인·고령 승객 지원 서비스: 항공편 예약 단계에서 항공사 ‘MEDIF(의학정보 양식)’를 제출하면, 검역소-항공사-공항공사가 협조해 별도 동선과 전용 창구를 제공합니다.

·        정기 공지사항 확인: 감염병 위기 단계 격상 시 검역조치가 수시로 변경됩니다. 출국 48시간 전과 귀국 72시간 전 국립인천공항검역소 홈페이지 공지를 반드시 재확인하십시오.


 

 

 

 

 

 

 

인천공항 인천공항검역소 위치, 고객센터 전화번호 관련 FAQ

 


Q1. 인천국제공항검역소는 제2 여객터미널 각각 어디에 위치해 있나요? 구체적인 동선을 알려주세요.

A. 인천공항검역소는 입국 심사 직전의정부기관 전용 구역에 위치하지만, 두 터미널의 세부 배치는 조금씩 다릅니다.

·        1 여객터미널(T1): 비행기에서 내려 수하물을 찾기 전, 입국장 B 게이트 5 우측 벽면에 파란색 “Quarantine 검역 표지를 확인합니다. 해당 표지판을 따라 왼쪽 복도 60m 정도 이동하면 4017 사무실·민원 창구가 보이며, 상단에 자주색 LED국립인천공항검역소(여행자 검역)’가 표시돼 있습니다.

·        2 여객터미널(T2): 도착층 중앙에 **“종합정부행정센터(Government Service Center)”**라는 유리 파사드 건물이 있습니다. 건물 안으로 들어가 좌측 첫 번째 카운터가 검역 민원 데스크이며, 후면 행정실이 검역2과 사무실입니다.

< 1 – 공식 연락처·위치 요약>

구분

터미널

대표 전화번호

인천공항검역소

1 여객터미널

032-740-2706 / 032-740-2747(해외감염병신고센터: 032-740-2740)

2 여객터미널

032-740-3404 / 032-740-3412

표지판은 한··· 4개 국어로 표기돼 있고, 온도계를 형상화한 아이콘이 붙어 있어 언어를 몰라도 식별이 쉽습니다. 환승객이라면 1층 환승보안검색장 맞은편 E1·E4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면 바로 2층 검역소로 연결됩니다. 휠체어·유모차 이용 승객은 게이트 5(1T)·Government Service Center 서편(2T) 경사로를 이용하면 계단 없이 접근 가능합니다.


Q2. 검역소 대표 전화번호가 여러 개라 헷갈립니다. 각 번호의 업무 구분과 운영 시간을 자세히 알려주세요.

A. 인천공항검역소는 터미널별·업무별로 번호를 분리해 두었으며, 모든 번호가 24시간 365 응대합니다.

·        032-740-2706(1T 검역1): 입국 전 발열·기침·설사 등 의심 증상을 미리 신고하거나 의약품 반입 제한, 예방접종 의무 여부를 문의할 때 사용합니다.

·        032-740-2747(1T 민원·증명): PCR·항원 검사 결과서, 영문 건강증명서, 자가격리 해제 확인서 재발급 등 서류 민원을 전담합니다.

·        032-740-2740(해외감염병신고센터): 말라리아·뎅기열·지카 등 풍토병 의심 증상이 있을 때 전 세계 어느 곳에서든 즉시 통화 가능한 핫라인입니다.

·        032-740-3404(2T 검역2): 2터미널 도착 승객 전용 상담 창구로, 위치 안내·증상 상담·격리 해제 기준을 설명합니다.

·        032-740-3412(2T 디지털 민원): Q-CODE 입력 오류, 자가진단 앱 장애, 전자예방접종증명서 검증 등의 디지털 문제를 해결합니다.

야간(00:00~06:00)에는 당직 인원이 적어 ARS 1즉시 ‘0’(상담원)을 두 번 누르면 사람이 받는 속도가 빨라집니다.


Q3. 해외 로밍 휴대전화로 위 번호들을 눌렀는데 통화가 안 됩니다. 해결 방법이 있을까요?

A. 원인은 통신사별 국제접속번호 처리 방식 차이입니다. 가장 간단한 해결책은 +82-32-740-XXXX 형식(지역번호 0 생략)으로 다시 거는 것입니다. 휴대전화에서 발신번호가 ‘Private’로 표시되면 공공기관 수신 서버에서 스팸으로 인식할 수 있으므로, ***31#**를 누른 뒤 번호를 입력해 발신번호 표시를 허용하고 재시도하세요. 그래도 연결이 안 되면 데이터 통화 품질이 좋은 로밍 LTE/5G로 전환하거나, 공항 공용 Wi-Fi 대신 유료 SIM(“KT Roaming eSIM” ) 데이터를 이용해 카카오톡·WhatsApp 콜로 발신하면 성공률이 높습니다. 마지막 수단으로 qni@korea.kr(검역소 대표 이메일)에 여권번호·항공편·도착시간·증상을 기재해 보내면, 당직 검역관이 회신 후 도착장 안내요원을 통해 탑승객을 찾아와 줍니다.


Q4. 비행 중 갑자기 고열이 났습니다. 착륙 후 검역소까지 어떻게 이동하고 얼마나 걸리나요?

A. 승무원이 체온계를 이용해 37.3℃ 이상을 확인하면 기장이 ATC **“의사환자(UME) 보고”**를 하고, 항공기가 리모트 스팟(보세구역 격리 주기장)으로 유도됩니다. 여기서 검역소 의사·간호사·119 음압구급대가 탑승해 1차 문진(PIC 귀체온·산소포화도)과 설문지를 작성한 뒤, 승객을 음압환자이송카트에 태워 전용 통로(일반 동선과 완전히 분리, 길이 약 200m)를 통해 검역소 심층조사실로 이동시킵니다. RT-PCR 검체 채취·흉부 X-ray 촬영을 한 뒤 결과가 나올 때까지 3~4시간 대기실에 머무르며, 결과지·격리 통지서를 동시에 발급받습니다. 가족·동반자는 밀접·일반 접촉자로 분류돼 각각 동일 검체 검사 또는 발열카메라 우선 통과 후 간이검역 절차로 구분되며, 검사 비용은 국가가 전액 부담합니다.


Q5. 반려견을 데려오는데 검역소에 바로 가면 되나요?

A. 사람 검역 담당인 국립인천공항검역소와 동물·식물 검역을 담당하는 농림축산검역본부 인천공항지역본부는 완전히 다른 기관입니다. 반려동물은 해당 본부(1T 3 2106 ☎ 032-740-2660 / 2T Government Service Center 2 ☎ 032-740-2028)로 가서 광견병·미세칩·혈청검사 서류를 제출해야 합니다. 다만 주인에게 발열·설사 등의 증상이 동반될 경우, 인수공통감염병 위험이 있으므로 사람·동물 검역소가 동시에 관여합니다. 이때는 해외감염병신고센터(032-740-2740)에 먼저 전화를 걸어 두 기관이 연동 접수를 진행하니, ·식물 검역을 따로 찾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습니다.


Q6. Q-CODE를 잘 입력했는지 전화로 확인받고 싶습니다. 가능한가요?

A. 가능합니다. 검역소 콜센터는 여권번호·영문 이름·생년월일만으로 중앙 서버에 등록된 Q-CODE QR을 즉시 조회합니다. 전화 중 본인 확인 동의(음성 녹취)가 이뤄지면, 담당자가등록 누락예방접종 증명서 JPEG 파일 해상도 불량출발지·체류국 오기재 등 오류를 원격 수정하고 재발급 QR을 이메일·문자로 보내 줍니다. 다만 기내에서 이미 종이 QR을 출력해 들고 내려온 경우, 네트워크 연결 여부에 따라 현장 스캐너가 새 버전을 읽지 못할 수 있으니, 도착 후 검역 창구에서전화 재발급 QR”임을 알리고 수동 인식 모드로 스캔받으십시오.


Q7. 국제선국제선으로 바로 환승합니다. 그래도 검역소 심사를 받아야 하나요?

A. 원칙적으로는 한국 입국 절차를 거치지 않으므로 검역소 정규 심사를 받을 의무가 없습니다. 그러나 아래 3가지 예외가 있으면 반드시 검역소를 방문해야 합니다.

1.     발열 카메라 자동 감시에서 37.5℃ 이상으로 포착된 경우

2.     WHO PHEIC 국가(: 에볼라·마르부르크 보고국)에서 출발한 승객

3.     기내에서 의사환자 신고가 접수돼 승무원이 신고한 경우

검역소 심사 후 Transfer Security를 다시 통과하므로, 최소 3시간 이상의 환승 연결 시간을 확보하세요. 촉박하다면 항공사 지상직에게 ‘Medical Escort Service’를 요청하면 검역소보안검색탑승구를 전용 통로로 이동할 수 있어 시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Q8. 새벽 2시에 도착하면 검역소가 문을 닫은 것처럼 보이는데, 직원 호출 방법이 있나요?

A. 23:00~05:00 사이에는 대기 인력이 최소화되어 카운터만 무인 상태로 보일 뿐, 24시간 당직 체계가 유지됩니다. 창구 전면에 부착된 은색 인터폰 수화기를 들어 올리면 즉시 당직실로 직통 연결됩니다(발신음 없이 바로 통화 가능). 인터폰 고장 시, 스마트 헬프 데스크키오스크에서 의료·검역 Emergency” 버튼을 터치하면 공항 통합관제센터가 CCTV로 위치를 확인하고 검역소·경찰대를 동시에 호출합니다. 건물 내부 조명이 어두워 불안할 수 있으나, 5분 내로 보안팀 순찰 인력 또는 검역관이 현장에 도착합니다.


Q9. 휠체어·시각장애인 승객은 검역소 접근이 어렵지 않나요?

A. 항공권 예약 단계에서 SSR 코드(WCHR·WCHS·BLND)를 입력하면 항공사 지상직무팀이 도착 30분 전 검역소와 협조해 전용 동선을 확보합니다. 1T는 게이트 5 우측 경사로, 2T Government Service Center 서편 경사로 엘리베이터가 있어 계단·장애물이 없습니다. 검역 창구 높이는 국제접근성표준(IAAP) 규격에 맞춰 하단 컷아웃(높이 73 cm)이 마련돼 있어 휠체어 상태에서도 서류를 건네기 편리합니다. 시각장애 승객은 공항 안내견이 동반 가능하며, 검역 절차 중에도 “Guide Dog On Duty” 표식을 단 채 그대로 입국장이동이 허용됩니다. 점자블록·음성안내장치가 복도 바닥·벽면에 설치돼 있어 동행자 도움 없이도 이동이 가능합니다.


Q10. 검역소 전화 상담 시 녹취·개인정보 보관이 걱정됩니다. 보호 절차가 어떻게 되나요?

A. 검역소 콜센터 녹취 파일은 질병관리청 통합보안망의 폐쇄망 서버에 AES-256 방식으로 암호화돼 저장되며, 최대 3이 지나면 자동 파기됩니다. 감염병 역학조사, 법원·검찰의 영장 청구, 국가 재난 상황을 제외하고는 내부 직원도 열람할 권한이 없습니다. 전화 연결 직후 ARS에서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를 안내하며, 동의하지 않을 경우 **“음성정보 OFF 상담”**으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해당 모드에서는 상담이 실시간 텍스트 기록으로만 저장되지만, Q-CODE 수정·PCR 결과 조회 같은 본인 인증이 필요한 업무는 제공되지 않습니다. 오프라인 서류(예방접종증명서 등)는 스캔 후 즉시 돌려주며, 전자파일은 보안문서함 1년 저장 뒤 완전 삭제됩니다. 3(보험사·고용주 등) 요청 시에는 본인 서면 동의가 없으면 열람 자체가 불가합니다.


 

 

 

 

 

 

 

오늘 정리하여 알려드린 인천공항 인천공항검역소 위치, 고객센터 전화번호는 포스팅 작성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기본적으로 한국관광공사 홈페이지 및 인천공항, 항공사 홈페이지를 확인하고 정리하였습니다. 하지만 인천공항 인천공항검역소 위치, 고객센터 전화번호는 향후 여러 사정상 변할 수 도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이번 포스팅은 참고용으로만 보시고 가장 최신 또는 여행 당일 인천공항 인천공항검역소 위치, 고객센터 전화번호는 반드시 한국관광공사 홈페이지 또는 여행사, 항공사, 인천공항 홈페지를 통해 문의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댓글